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 & 성공 마인드90

경제 용어 "샴의 법칙" 쉽게 이해하기! 지난 주, 미 실업률 수치가 작년 평균치를 웃돌면서 실제로 미 증권시장도 대폭 하락하는 현상이 있었다. 이 때문에 '샴의 법칙'에 대한 관심이 많아졌다. 오늘은 '샴의 법칙'에 대해 알아 보겠다.   샴의 법칙샴의 법칙은 미국의 경제학자인 클라우디아 샴(Claudia Sahm)이 고안한 법칙이며, 실업률을 통해 경기 침체를 예측하는 침체 측정기이다. 미국 실업률의 최근 3개월 평균치가 지난 1년 최저치보다 0.5%포인트 이상 높으면, 반드시 침체가 온다는 법칙이다.       미국 실업률 지난달 실업률 4.1%, 이번 달 4.1% 예상되는 상황이라 이 측정기로는 0.43이 된다. 실업이 조금만 더 오르면 경기침체를 맞게 되는 수치라 고용에 대한 우려로 금리인하의 필요성이 한층 높아진 상황이다.    이번.. 2024. 8. 5.
경제 용어 "스태그플레이션" 쉽게 이해하기! 지난 시간 '디스인플레이션'에 대해 알아보았다. 오늘은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해 알아보겠다.  목차 1. 스태그플레이션 이해2. 스태그플레이션 원인 3. 스태그플레이션 영향4. 스태그플레이션 해결방안  1. 스태그플레이션 이해 침체를 뜻하는 '스태그네이션(stagnation)'과 통화 팽창을 뜻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을 합성한 용어이며, 경제 활동이 침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속해서 물가가 상승하는 상태가 유지되는 저성장·고물가 상태를 의미한다. 즉, 불경기와 물가 상승이 한꺼번에 일어나는 경제위기 상황을 말한다.  이전 시간 알아본 인플레이션은 소비가 올라가면서 수요와 물가도 같이 올라가며, 반대로 경기가 하락하면서 물가, 수요가 모두 내려가는 디플레이션이 있다. 그런데 스태그플레이션이.. 2024. 8. 5.
경제 용어 "디스인플레이션" 쉽게 이해하기! 지난 시간에는 경기가 좋아지지만, 물가도 계속 올라 화폐가치가 하락하는 현상인 '인플레이션'에 대해 알아보았다. 오늘은 '디스인플레이션'에 대해 알아보겠다. '디스'는 '규제' 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서 올라가는 것을 중단시킨다고 이해하면 쉽다.   인플레이션 현상을 규제하는 '디스인플레이션'은 무엇일까?  1. 디스인플레이션이란?디스인플레이션(disinflation)은 인플레이션을 억제함으로써 디플레이션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화의 양과 물가를 되도록 현재의 선에서 안정시키려고 하는 경제 조정 정책을 말한다. 인플레이션이 찾아오면 정부와 중앙은행은 통화량과 물가의 안정을 위해 긴축적 정책을 펼치게 되는데, 이때 물가 상승률이 낮아지게 되는 것을 디스인플레이션이라고 한다.  디스인플레이션은 속도.. 2024. 8. 1.
경제 용어 "인플레이션" 쉽게 이해하기! 지난 시간에는 "금리"에 대해 알아보았다. 오늘은 금융 공부 두 번째 시간 "인플레이션"에 대해 알아보겠다. 지난 몇 년간 팬데믹 다음으로 인플레이션이란 단어를 정말 많이 들었다. 2022년~2023년 세계적으로 난리가 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그렇다면 '인플레이션'은 도대체 무엇일까?     어른들이 흔히 '나는 그 힘든 옛날에 얘 넷, 다섯도 잘 키웠다'고 말씀하신다. 나 역시 궁금한 것 중 하나가 우리 부모님들은 내가 어렸을 때 아버지가 혼자 일하셨음에도 자가가 있었고, 삼 남매 모두 학원 각각 2개씩 다녔고, 대학까지 졸업하고, 결혼까지 보내셨다는 것이다.   하지만 요즘에는 주변에서 아이 한 명 키우는 것도 쉽지 않다는 말을 많이 듣고 있다.그 이유가 바로 이 '인플레이션'이 작용하고 있기 때.. 2024. 7. 29.
반응형